✅ 수면 내시경(진정 내시경)은 위·대장내시경 검사 중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진정제를 사용하는 검사 방법이다.
✅ 그러나, 진정제(프로포폴, 미다졸람) 사용 시 호흡 억제, 저혈압 등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.
✅ 내시경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, 필요 시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.
🚨 "프로포폴과 미다졸람, 어떤 차이가 있을까?"
🚨 "수면 내시경 중 어떤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까?"
🚨 "간호사는 어떤 기준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대처해야 할까?"
이번 글에서는 수면 내시경에서 사용하는 진정제(프로포폴 vs 미다졸람)의 차이점,
환자 모니터링 방법,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법까지 상세히 정리해보자! 🚀🔥

1️⃣ 수면 내시경(진정 내시경)이란?
🔬 수면 내시경은 위·대장내시경 검사 중 환자의 불안과 고통을 줄이기 위해
진정제(프로포폴, 미다졸람)를 투여하여 졸린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.
📌 수면 내시경의 장점
✅ 검사 중 불편감 감소 → 구역질(오심)과 통증을 줄여 편안한 검사 가능
✅ 검사 시간이 짧아짐 → 환자의 움직임이 줄어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됨
✅ 환자 경험 개선 → 내시경 검사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재검사율 증가
🚨 하지만, 진정제를 사용하면 호흡 억제, 저혈압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
내시경실 간호사는 검사 중 환자의 상태를 철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!
2️⃣ 수면 내시경에서 사용하는 진정제: 프로포폴 vs 미다졸람 차이점
📌 수면 내시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진정제는 프로포폴(Propofol)과 미다졸람(Midazolam)이다.
이 두 약물은 작용 방식, 효과 지속 시간, 안전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.
✅ 프로포폴(Propofol) – 빠르고 강한 진정 효과
✔ 작용 속도 → 매우 빠름 (30초~1분)✔ 회복 속도 → 빠름 (10분 내 회복)
✔ 주요 특징 → 짧은 지속시간, 강한 진정 효과
✔ 부작용 → 호흡 억제, 저혈압 위험 (간호사의 철저한 모니터링 필요)
✔ 추천 대상 → 빠른 회복이 필요한 환자 (직장인, 학생 등)
✅ 미다졸람(Midazolam) – 기억 소거 효과 & 비교적 안전한 진정제
✔ 작용 속도 → 비교적 느림 (1분)✔ 회복 속도 → 느림 (60분)
✔ 주요 특징 → 기억 소거(검사 과정 기억 X), 긴 작용 시간
✔ 부작용 → 혈압 저하 가능성, 일부 환자는 과도한 졸음 지속
✔ 추천 대상 →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, 고령자
🚨 즉, 프로포폴은 빠른 작용과 짧은 회복 시간을 원할 때,
미다졸람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진정제를 원할 때 선택하면 된다!
3️⃣ 수면 내시경 중 환자 모니터링 방법
✅ 진정 내시경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호흡과 혈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다.
✅ 간호사는 환자가 과다 진정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.
📌 모니터링 필수 항목
산소포화도 (SpO₂) | 95~100% | 90% 이하 → 산소 공급 필요 |
호흡수 (RR, Respiratory Rate) | 12~20회/분 | 10회 미만 → 호흡 억제 위험 |
혈압 (BP, Blood Pressure) | 90~140mmHg(수축기) | 90mmHg 이하 → 저혈압 위험 |
심박수 (HR, Heart Rate) | 60~100회/분 | 50회 미만 → 서맥(느린 심박수) 가능 |
🚨 수면 내시경 중 응급 상황을 예방하려면,
환자의 산소포화도(SpO₂), 혈압(BP), 호흡수(RR)를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한다!
4️⃣ 수면 내시경 중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 & 대처법
✅ 진정제 사용 중 가장 흔한 부작용은 ‘호흡 억제’와 ‘저혈압’이다.
✅ 내시경실 간호사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.
📌 수면 내시경 중 자주 발생하는 응급 상황과 대처법
호흡 억제 (저산소증) | SpO₂ 90% 이하, 호흡수 감소 | 즉시 산소 공급 (3~5L/분) |
저혈압 (혈압 저하) | 수축기 혈압 90mmHg 미만 | 정맥 수액 공급 (Normal Saline, Hartmann) |
서맥 (심박수 저하) | 심박수 50회 미만 | 필요 시 아트로핀(Atropine) 투여 |
진정 과다 (깨어나지 않음) | 깨우려 해도 반응 없음 | 미다졸람 사용 시 플루마제닐(Flumazenil) 투여 |
프로포폴 부작용 | 호흡 정지, 혈압 급락 | 즉시 마취과 협진 요청, 기도 확보 |
🚨 즉, 수면 내시경 중 응급 상황을 예방하려면
진정제 용량을 조절하고, 환자의 상태를 철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!
🔎 결론: 수면 내시경 중 환자 모니터링이 환자의 안전을 결정한다!
✅ 수면 내시경(진정 내시경)에서는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.
✅ 프로포폴은 빠른 작용과 회복 속도가 장점이지만, 호흡 억제 위험이 있다.
✅ 미다졸람은 기억 소거 효과가 있지만, 회복 속도가 느릴 수 있다.
✅ 환자의 산소포화도, 혈압, 호흡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.
✅ 저산소증, 저혈압, 서맥 등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필수적이다.
🚀 **내시경실 간호사의 정확한 모니터링과 빠른 대처가
수면 내시경의 안전성을 결정한다!**🔥
'간호사라면 > 내시경실 간호사라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5. 응급 상황 시 간호사의 역할 (1) | 2025.03.31 |
---|---|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4. 자주 받는 환자 질문 BEST 5 & 정확한 답변법 (3) | 2025.03.29 |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3. 내시경 기구 세척 및 소독 절차 완벽 정리 (2) | 2025.03.27 |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1. 검사 전·중·후 환자 관리 가이드 (1) | 2025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