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간호사라면/내시경실 간호사라면
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5. 응급 상황 시 간호사의 역할

by endos 2025. 3. 31.

🔹 내시경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과 간호사의 중요성

내시경 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로 알려져 있지만, 검사 중 예상치 못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. 특히 출혈, 천공(장 천공), 저산소증과 같은 합병증은 빠르게 대처하지 않으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.

이러한 응급 상황에서 내시경실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.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이기 때문이다. 이번 글에서는 내시경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응급 상황 3가지와 이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및 대처법을 자세히 알아본다.

 

내시경실 간호사라면!! 알아야 하는 지식 5. 응급 상황 시 간호사의 역할

 


🔹 1. 내시경 중 출혈 발생 시 간호사의 역할

✅ 출혈의 원인과 위험 요소

내시경 중 출혈은 주로 조직 검사(생검), 용종 절제술(폴립 제거), 점막 절제술(EMR),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(ESD) 후 발생할 수 있다.
고위험군 환자:
✔️ 항응고제(와파린, 클로피도그렐) 복용자
✔️ 간 질환(간경변) 환자
✔️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환자

✅ 간호사의 응급 대처법

1️⃣ 출혈 여부 확인: 내시경 화면을 보며 출혈의 위치, 출혈량을 빠르게 판단
2️⃣ 출혈 조절 지원: 의료진이 클립, 전기 소작기, 아드레날린 주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
3️⃣ 환자의 활력 징후 모니터링: 혈압, 맥박,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출혈로 인한 쇼크를 방지
4️⃣ 응급 장비 준비: 출혈이 지속되면 혈압 강하 및 저혈량 쇼크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액(정맥주사), 수혈 세트, 응급 카트 준비


🔹 2. 내시경 중 천공(장 천공) 발생 시 간호사의 역할

✅ 천공의 원인과 증상

천공은 내시경이 장벽을 뚫고 나가면서 발생하는 합병증이다. 주로 대장내시경 중 용종 절제술(폴립 제거)이나 점막 절제술(EMR, ESD) 후 발생할 수 있다.

천공 발생 시 증상:
✔️ 갑작스러운 심한 복통
✔️ 복부 팽만 및 압통
✔️ 심한 발한 및 혈압 저하(패혈증 진행 시)

✅ 간호사의 응급 대처법

1️⃣ 천공 의심 즉시 내시경 중단: 의료진에게 천공 의심을 보고하고, 즉시 내시경을 중단하도록 조치
2️⃣ 환자 상태 모니터링: 혈압, 맥박, 호흡수를 체크하여 쇼크 징후 감지
3️⃣ 응급조치 및 수술 팀 호출: 천공이 심한 경우 응급 개복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외과팀과 협력
4️⃣ 금식 유지 및 항생제 투여 준비: 천공이 발생하면 금식 유지, 정맥 수액 공급, 광범위 항생제 투여가 필요
5️⃣ 산소 공급: 저산소증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산소 마스크 준비

 


🔹 3. 내시경 중 저산소증(산소포화도 저하) 발생 시 간호사의 역할

✅ 저산소증의 원인

✔️ 수면내시경(진정내시경) 시 진정제 과량 투여
✔️ 고령 환자 또는 COPD, 심부전, 비만 환자의 산소 공급 부족
✔️ 내시경 삽입으로 인한 기도 폐쇄

✅ 간호사의 응급 대처법

1️⃣ 산소포화도(SpO₂) 지속 모니터링: SpO₂가 90% 이하로 떨어지면 즉각 대응
2️⃣ 산소 공급 강화: 필요 시 산소 마스크(3~15L/min) 적용
3️⃣ 기도 유지: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하거나 필요 시 백밸브마스크(BVM, 앰부백) 사용
4️⃣ 진정제 용량 조절: 프로포폴이나 미다졸람 과량 투여가 원인일 경우 즉시 길항제(플루마제닐, 날록손) 준비
5️⃣ 의료진과 협력하여 필요 시 기관 삽관 준비

 


🔹 결론: 내시경실 간호사의 빠르고 정확한 대처가 환자의 생명을 지킨다

내시경 검사 중 응급 상황은 드물지만,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처가 환자의 안전을 결정짓는다. 특히 출혈, 천공, 저산소증은 빠르게 조치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, 간호사는 응급 상황별 대처법을 숙지하고, 의료진과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.

📢 내시경실 간호사는 단순한 검사 보조자가 아니라,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인력이다.